2016년 9월 18일 일요일

배당투자 BSD 전략(Big_Safe_Dividend)



배당투자 BSD 전략(Big_Safe_Dividend)


The Little Book of Big Dividends


주말에 The little Book of Big Dividends 라는 책을 읽었다.

저자는 Charles B. Carlson, CFA 인데 나름 볼만하다.


가정.

1. 이익이 없으면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한다.
2. 배당수익률이 아닌 총수익률이 매력적이어야 한다.


이 가정은 즉 배당보단 이익과 배당 모두 보겠다는 말이고, 또한 한번의 배당수익률이 아닌 장기적으로 자본이익과 배당성장까지도 보겠다는 말이다.


핵심요소

1. 배당성향 < 60%
2. Quadrix point > 75

배당성향이 60%이상은 비정상적인 배당성향으로 장기성장이 담보되지 않는 종목으로 제외하겠다는 것이고, 쿼드릭스 포인트는 자신이 개발한 모델의 점수이다.

쿼드릭스는 6가지 유형에 걸쳐 100여가지 변수를 기준으로 점수화한다.

1. 모멘텀(이익, 현금흐름, 매출액 증가 등)
2. 질(투자수익률, 자본이익률, 자산이익률 등)
3. 가치(주가매출액비율, 주가수익비율, 주당순자산비율 등)
4. 재무건전성(부채 수준)
5. 이익 추정치
6. 실적(주가의 상대실적)

저자 홈페이지에 가보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What is Quadrix?
The problem with such narrow approaches is that if your entire strategy is based on a single metric or on a small set of correlated metrics, your portfolio could take a major hit by the time you realize that you’ve bet on the wrong metric and that a change is needed.
My firm’s Quadrix® stock-rating system is an excellent tool for spotlighting stocks demonstrating balanced and broad strength. Quadrix ranks roughly 4,600 stocks based on more than 90 different variables across six categories:


1.   Momentum (growth in earnings, cash flow, and sales)
2.   Quality (return on investment, return on equity, return on assets)
3.   Value (price/sales, price/earnings, price/book ratios)
4.   Financial strength (debt levels)
5.   Earnings estimates6.   Performance (relative stock price performance)


Within each category, some variables are weighted more heavily, based on past effectiveness. To compute an Overall Score, Quadrix uses a weighted average of the six category scores. The Overall Score is a percentile ranking, so a stock that has an Overall Quadrix Score of 90 means it scores better than 90 percent of the stocks in the Quadrix universe. The best way to use Quadrix is to focus on stocks that score in the upper quartile (75 and above out of a possible 100). 


All too often, investors pick stocks based on a single data point or small set of data points that jibe with their approach. Value investors gravitate toward companies that are most attractive because of their price/earnings ratios or discounted cash flow. Growth disciples focus on companies with the best sales and earnings growth. Momentum investors look for the strongest stock-price action.  And dividend investors focus on yield.


자는 고급BSD도 공개하고 있는데,

1. 배당성향 (30%비중)
2. 이자보상비율(10%)
3. 현금흐름-이익비율(5%)
4. 배당수익률(5%)
5. 6개월 상대수익률(10%)
6. 1년 유형자산장부가치 변화(10%)
7. 장기이익성장률 추정치(10%)
8. 3년 현금흐름 증가율(5%)
9. 3년 배당금 증가율(10%)
10. 3년 이익 증가율(5%)


이건 BSD 어드밴스드 버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첫번째 버전도 의미가 있고, 두번째도 의미가 있어 개발한 듯 하다.

변수별 비중은 아마 특정 기간동안 최적화 백테스트를 했을 것 같다. 그러면서 제약조건으로 한 변수당 5%이상을 준다 같은 것을 넣었을 것 같고.

개인투자자들 입장에서 굳이 이 점수를 계산할 필요는 없다.

www.bigsafedividends.com 에 공개를 하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