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4일 토요일

볼린저밴드 활용법(bollinger band)

기술적 분석 지표중 유명한 지표중 하나인 볼린저밴드 활용법에 대해 써보고자 한다.


볼린저 밴드는 중심선(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상한선과 하한선, 총 세가지 선의 밴드로 이루어져 있다.

중심선은 보통 12일선이나 20일선을 많이 사용한다.

상한선은 +2 Sigma, 하한선은 -2 Sigma로 약 95%의 주가의 움직임이 이 밴드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 지표는 나름의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바로 정규분포이다.


보통 어떤 가정을 세우고 분석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라고 할 때, 보통 +-2 sigma 를 벗어날 때 유의하다고 한다.

그와 마찬가지다. 주가가 하한선을 돌파하면 과매도, 상한선을 돌파하면 과매수 상태라는 뜻이다.

어떤 특별한 펀더멘탈 이슈나 뉴스가 없는 횡보장에서는 보통은 하한선 아래에선 반등이 나올 가능성이 높고, 상한선 위에선 하락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그러다가 어떠한 이슈, 예를 들어 수급, 뉴스, 실적발표 등에 의해 볼린저 밴드가 확장국면에 진입하게 된다. 즉 상단을 뚫고 지속되거나, 하단을 뚫고 지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상승추세를 탈 때는 보통 뚫는 당일포함 하루 이틀 급등세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러면서 변동성이 커지면서 밴드가 확장되게 된다.

상승추세에 있을 때는 보통 중심선이 저항대로 작용한다.

상승추세에 있으니, 평균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려고 하는 힘 때문이다.


하락확장국면은 이와 반대로 이해하면 된다.




위 차트는 현대차의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 대세상승기의 주봉이다.

어김없이 중심선은 단기 바닥이었다. 그리고 차트는 중심선과 상한선 사이에서 움직이며 대세상승을 보여줬다.





이 차트는 최근의 현대차 차트이다.

급락이후 최근에는 횡보하고 있다.

하한선에서는 반등이 나오고 상한선에는 하락이 나왔다.

최근 1년은 특별한 뉴스가 없었다. 이미 주가는 실적 안좋은 것으로 미리 과도하게 반영해 안좋은 뉴스에 크게 흔들리지 않고, 좋은 뉴스는 아직 주가를 위로 끌어올릴만 하지 않은 뉴스들이었다.

하지만 지금 최근의 주가흐름은 어떻게 보이는가?

주가의 변동성을 줄이며 현 주가는 상한선에 걸쳐있다.

보통 변동성을 줄인채 옆으로 기면, 상한선을 돌파하든, 하한선을 돌파하든 확장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글쎄 주가는 신도 모르지만, 내눈엔 대세 상승 초입국면에 있는 차트로 보인다.

아까도 말했듯 변동성을 줄인채 옆으로 긴지 1년... 변동폭은 더욱 줄어들었고

현재의 차트는 곧 확장국면으로 위든 아래든 튈 차트인데, 위로 튀려고 준비중으로 보인다.


암튼 볼린저 밴드는 현 주가가 과거 특정일(12든 20이든)중 정규분포상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별 특별한 상황이 없는 상황에서 2시그마를 벗어났다면 평균회귀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별 특별한 상황이 있는 상황에선 변동성이 커지며 확장국면에 들어선다.


펀더멘탈분석은 확장국면에 들어설 타이밍에 유용하다. 상승확장일지 하락확장일지를 예측할 수 있게 때문이다.


기술적이든 기본적분석이든 어느 하나가 무조건적으로 우월하지 않다.

기본적분석이 우선되어야겠지만, 기술적분석을 해야만 현 주가가 현재 어느위치에 있는지, 그 와중에 싸게사고 비싸게 매도할 수 있다.




2016년 9월 20일 화요일

향후 채권 시장 전망

향후 채권 가격의 흐름은 어떻게 될까?


난 주식매니저지만 금리는 항상 관심있게 쳐다본다.

내가 올해 초부터 느낀 점은 현재의 채권은 마치 주식으로 치면 고점인데 아직은 더 갈 여지가 남았으니 조금 더 위에서 팔려고 애쓰는 그런 모습? 이었다.

PBR 10배인데, PBR 12배까진 가지않겠느냐며 들고 있는 그런모습이랄까...


암튼, 우리나라는 금리인하를 두번정도까지 예상을 하고, 미국은 금리인하 올해는 물 건너 갔다는 의견이 상반기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자, 금리인하 두번을 하든말든,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든 말든 그게 중요한게 아니다.

그게 중요한가? ㅎㅎ 개투라면 모를까... 포트폴리오매니저로서 꽤 큰 물량을 가지고 있다면 시장보다 한 발 먼저 즉 어깨에 팔아야 된다. 그래야 머리에서 물량을 다 털 수 있다. 머리에서 털기 시작하면 이미 늦다.

결론은 이미 금리수준은 비정상적으로 낮고, 채권 가격은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0.25%이고, 장기금리는 낮을 대로 낮아서 플랫하거나 인버팅까지 나오는 상황이었다. 우리나라도 다를 바 없어서 거의 장단기 스프레드가 플랫한 수준이었다.

더이상 내려갈 절대레벨이 거의 없는데, 한번이냐 두번이냐,,, 올해 내리냐 못내리냐가 뭣이 중헌디..


채권투자에서 리턴의 원천은 두가지 뿐이다.

1. 쿠폰
2. 자본이익.

금리의 절대레벨이 0%대. 우리나라는 1%대,
쿠폰은 없다고 보면 된다. 세금띠고 뭐하면 걍 0%대다.

두번째 자본이익. 자본이익의 원천은 또 두가지인데, 커브의 움직임과 절대레벨의 움직임이다. 이미 충분히 낮은 절대레벨에서 플랫한 커브를 갖고 있다면 뭐 먹을게 있나?

기준금리가 이미 0%대여서, 더이상 플랫해질 여지도 안남은, 이는 곧 이제 스팁해질 일만 남은 상황. 절대 레벨은 더이상 내려갈 곳이 없는 상황.

즉 채권가격이 개거품이라는 뜻이다.



물론, 장기불황기가 이어지고, 뉴노멀이기 때문에 금리가 못 올라간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O.K. 그거 인정하더라도, 그러면 채권이 매력적일까?

쿠폰 없고, 자본이익 없는데, 도대체 왜 채권에 투자해야되지?

금리를 못 올리더라도 채권은 매력이 없어진 것이다.



현재 국내 코스피 평균 배당수익률이 2%정도 된다.

잘 찾아보면 3%이상 주는 주식이 널렸고, 4-5%주는 주식도 많다.

채권으로 치면 지금 사면 왠만하면(회사는 웬만큼 힘들지 않고선 배당을 줄이진 않는다) 쿠폰이 3~5%이란 뜻..

또한 주가도 시가배당률이 이렇게 높다는 건 배당을 많이 줘서라기 보단 주가가 빠져서인 경우가 훨씬 많다. 즉 PBR도 0.X대.... 빠질일 보다 올라갈 가능성이 더 많은....

상대적으로 주식의 매력이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 채권매니저들이 좋았다. 인센티브도 많이 받았다. 하지만 채권시장에도 서서히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2016년 9월 18일 일요일

배당투자 BSD 전략(Big_Safe_Dividend)



배당투자 BSD 전략(Big_Safe_Dividend)


The Little Book of Big Dividends


주말에 The little Book of Big Dividends 라는 책을 읽었다.

저자는 Charles B. Carlson, CFA 인데 나름 볼만하다.


가정.

1. 이익이 없으면 배당금을 지급하지 못한다.
2. 배당수익률이 아닌 총수익률이 매력적이어야 한다.


이 가정은 즉 배당보단 이익과 배당 모두 보겠다는 말이고, 또한 한번의 배당수익률이 아닌 장기적으로 자본이익과 배당성장까지도 보겠다는 말이다.


핵심요소

1. 배당성향 < 60%
2. Quadrix point > 75

배당성향이 60%이상은 비정상적인 배당성향으로 장기성장이 담보되지 않는 종목으로 제외하겠다는 것이고, 쿼드릭스 포인트는 자신이 개발한 모델의 점수이다.

쿼드릭스는 6가지 유형에 걸쳐 100여가지 변수를 기준으로 점수화한다.

1. 모멘텀(이익, 현금흐름, 매출액 증가 등)
2. 질(투자수익률, 자본이익률, 자산이익률 등)
3. 가치(주가매출액비율, 주가수익비율, 주당순자산비율 등)
4. 재무건전성(부채 수준)
5. 이익 추정치
6. 실적(주가의 상대실적)

저자 홈페이지에 가보면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What is Quadrix?
The problem with such narrow approaches is that if your entire strategy is based on a single metric or on a small set of correlated metrics, your portfolio could take a major hit by the time you realize that you’ve bet on the wrong metric and that a change is needed.
My firm’s Quadrix® stock-rating system is an excellent tool for spotlighting stocks demonstrating balanced and broad strength. Quadrix ranks roughly 4,600 stocks based on more than 90 different variables across six categories:


1.   Momentum (growth in earnings, cash flow, and sales)
2.   Quality (return on investment, return on equity, return on assets)
3.   Value (price/sales, price/earnings, price/book ratios)
4.   Financial strength (debt levels)
5.   Earnings estimates6.   Performance (relative stock price performance)


Within each category, some variables are weighted more heavily, based on past effectiveness. To compute an Overall Score, Quadrix uses a weighted average of the six category scores. The Overall Score is a percentile ranking, so a stock that has an Overall Quadrix Score of 90 means it scores better than 90 percent of the stocks in the Quadrix universe. The best way to use Quadrix is to focus on stocks that score in the upper quartile (75 and above out of a possible 100). 


All too often, investors pick stocks based on a single data point or small set of data points that jibe with their approach. Value investors gravitate toward companies that are most attractive because of their price/earnings ratios or discounted cash flow. Growth disciples focus on companies with the best sales and earnings growth. Momentum investors look for the strongest stock-price action.  And dividend investors focus on yield.


자는 고급BSD도 공개하고 있는데,

1. 배당성향 (30%비중)
2. 이자보상비율(10%)
3. 현금흐름-이익비율(5%)
4. 배당수익률(5%)
5. 6개월 상대수익률(10%)
6. 1년 유형자산장부가치 변화(10%)
7. 장기이익성장률 추정치(10%)
8. 3년 현금흐름 증가율(5%)
9. 3년 배당금 증가율(10%)
10. 3년 이익 증가율(5%)


이건 BSD 어드밴스드 버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첫번째 버전도 의미가 있고, 두번째도 의미가 있어 개발한 듯 하다.

변수별 비중은 아마 특정 기간동안 최적화 백테스트를 했을 것 같다. 그러면서 제약조건으로 한 변수당 5%이상을 준다 같은 것을 넣었을 것 같고.

개인투자자들 입장에서 굳이 이 점수를 계산할 필요는 없다.

www.bigsafedividends.com 에 공개를 하고 있다.





2016년 9월 11일 일요일

Source of the alpha.

Source of the alpha.


what are the sources of alpha?

If you make a portfolio of equity, it is hard to make alpha every year(or almost of the year)

almost of the mutual fund follow the index of market. and some times, some fund get alpha but it's not exist consistently.

so the fund that has consistent alpha must have something different to others.

what is that?

if you work in finance industry, you might guess this issue. and if you have get answer on this question. you might be famous portfolio manager.

I always think about that.

in mid-century,  philosophers thought about the life, existence, god ets.

portfolio manager also think about how to make alpha.

so if I have time I go to library and read many books about equity investment like Warren Buffett's investment.

 yeah, I still have been thinking about it. and think and back-test thinking.

the onething I get from this process, there is no rule that work well every year or every situation.

however, there are rules that working well in some situation, in some periods like bull market, bear market.

so portfolio manager have to know now is which market. and then apply good strategy and rule of making PRT.






2016년 9월 9일 금요일

테라세미콘 원익IPS 합병

장이 끝나고 나니 이런 공시가 나와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어리둥절, 뭐가 뭔지 몰라하는 것 같다.


뭐 복잡하지 않다, 표면적으로는 ...

공시를 먼저 보자.



-----------------------------------------------------------------------------


- 1개월 가중평균 주가(2016년 8월 9일 ~ 2016년 9월 8일) : 25,569원


- 1주일 가중평균 주가(2016년 9월 2일 ~ 2016년 9월 8일) : 24,263원


- 최종일 주가(2016년 9월 8일) : 23,500원


- 합병가액(산술평균 주가) : 24,445원



상기와 같이 합병법인이 피합병법인을 흡수합병함에 있어서 합병비율의 기준이 되는 합병당사회사의 주당평가액은 합병법인과 피합병법인이 각각 23,175원(액면가액 500원)과 24,445원(액면가액 500원)으로 산출되었으며, 이에 따라 합병비율은 1 : 1.0548004로 결정되었습니다.


------------------------------------------------------------------------------------






합병비율이 원익IPS : 테라세미콘 = 1: 1.0548 이다.

즉 테라세미콘 1주당 원익IPS 1.055주 정도 준다는 것이다.

이 말인 즉슨, 원익IPS와 테라세미콘은 이제 같은 회사처럼 주가가 페어 되어 움직일 수밖에 없다.


중요한 것은 반대의사 매수청구권.

테라세미콘 주주에게 주는 매수청구권 가격은 25,394원이다.

현재 테라세미콘 주가는 24600원이니, 최소 이 가격 이상에서 거래되어야 합병이 된다.

이 가격이하면 모두 매수청구권을 행사할테니...







즉 월욜이면 테라세미콘은 25400원 이상에서 시초가가 형성 될거고

원익IPS는 5.5%정도 할인된 24000원 정도에서 시초가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합병된다는 가정아래 페어 된다면)





자 문제는 반대매수가 얼마큼 되면 합병무산이냐면..

공시를 다시 보자.

-----------------------------------------------------------------------------


본건 합병에 따른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로 인하여 존속회사 및 소멸회사 각각이 그 주주들에게 지급하여야 할 매수대금의 합이 각 회사별로 금 이백억(20,000,000,000)원을 초과하는 경우(본항의 목적상 위 매수대금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에 따라 산정한 가액으로 함), 존속회사는 소멸회사에 대한 서면 통지로써 본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


200억이상이 매수청구권을 행사하면 합병무산이 된다.

200억이면, 테라세미콘 시총 2400억임을 감안하면 약 8%만 반대해도 합병이 무산된다.

근데 테라세미콘의 주주구성을 보자.


원익홀딩스 13%


신한비앤비 9.7%


현대인베 5%


외국인 7%






주요 주주가 이렇다.

대주주 지분이 매우 낮아 큰 주주 한둘만 이탈해도 바로 무산이다.

이는 주주들의 대부분, 아니 거의 다가 매수청구권을 행사하면 안된다.


(수정) 알아본 결과, 말 그대로 200억 이상 청구가 들어오면 합병을 해제시킬 수 있다이지, 무조건 해제는 아닙니다. 물론 원익홀딩스의 재무상황을 보면 200억 이상이 되어 300,400억이 된다면 매수청구에 응해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한마디로 저건 "매수청구가 너무 많이 들어왔을 때, 해제도 가능합니다"라는 하나의 옵션입니다. 
물론 지난번 삼성엔지 + 삼성중 사례에서 보듯, 매수청구가 많이 들어오면 합병시키기 어렵습니다. 일순간에 그정도의 캐시를 갖고 있기도 어렵거니와 기회비용도 크기 때문입니다.






충분히 주가가 매수청구권 위에서 형성되어 있어야 저 매수청구권 행사를 안할 여지가 높다.

그렇다면 얼마나 위에서 형성되어 있어야 될까?






다시 공시를 보자.

-------------------------------------------------------------------------------------

합병계약일

2016년 09월 09일


주주확정기준일

2016년 09월 27일


주주명부
폐쇄기간

시작일

2016년 09월 28일


종료일

2016년 10월 06일


합병반대의사통지 접수기간

시작일

2016년 10월 21일


종료일

2016년 11월 04일


주주총회예정일자

2016년 11월 07일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시작일

2016년 11월 07일


종료일

2016년 11월 28일


구주권제출기간

시작일

2016년 11월 08일


종료일

2016년 12월 20일


매매거래 정지예정기간

시작일

2016년 12월 19일


종료일

2017년 01월 04일


채권자이의 제출기간

시작일

2016년 11월 08일


종료일

2016년 12월 20일


합병기일

2016년 12월 21일


종료보고 총회일

2016년 12월 22일


합병등기예정일자

2016년 12월 22일


신주권교부예정일

2017년 01월 04일


신주의 상장예정일

2017년 01월 05일

--------------------------------------------------------------------

어우 길다...

대략 내년 1월 5일이 되어서야 신주가 상장되고 다시 유동성이 생긴다.

기관투자자 입장에서는 환매 대응도 안되고 만만찮은 비유동성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한 불확실성 및 비유동성을 감안하면 매수청구권보다 고작 5%정도 높은 수준에서는 그냥 매수청구권을 행사해버릴 수도 있다.

다시 말하지만 200억이라는 숫자는 대주주 지분을 생각해볼때 매우 낮은 수치다.

한 두기관만 변심해도 바로 합병 무산이 된다.

내 생각에는 매수청구가보다 최소 10%이상은 높아야 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 같다.

내가 원익홀딩스라면 10%도 불안해 보인다. 꼭 합병하고 싶다면 말이다.

즉 당분간 테라주가는 매수청구가인 25400원 대비 최소 10%이상에서 거래되게 할 유인이 원익홀딩스 입장에서 있다.

유인이 있다고 주가를 올릴 수 있느냐? 그건 뭐 알 수 없지만, 두 회사는 장비회사이다.

게다가 앞으로 2-3년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입장에서 매우 큰 투자를 앞두고 있다. 자율공시를 적극적으로 한다든가, 장기비전을 제시한다든가 등 펀더측면이든 센티측면이든 주가를 부양시킬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